본문 바로가기
  • 생활의 작은 변화, 정보 하나로 시작해요!
  • "정부 지원 정책과 생활 정보 : 더 나은 삶을 위한 노하우"
생활 정보

2023년 정부 지원 청년 금융 상품 총정리

by money-아재 2023. 2. 21.
반응형

온라인-청년센터
온라인-청년센터

올해 돈 모을 결심을 했다면 올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 금융상품들이 곧 출시됩니다. 몰라서 못 받으면 아쉬우니까 미리미리 알아두고 꼭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올해 정부에서 시행하는 3가지 청년 금융 정책을 알아보겠습니다.

 

1. 청년 도약 계좌

정부에서 청년들의 저축을 돕는 제도입니다. 매달 40만 원 ~ 70만 원 저축하면 소득에 따라 정부가 최대 6%의 지원금을 적립하고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도 면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월 70만 원씩 5년을 납입하면 원금 4,200만 원에 정부 지원금과 예금 이자를 더해 약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올해 6월부터 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가입조건은 만 19세 ~ 34세, 소득은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이신분 해당이고 6,0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는 정부 지원금까지 제공하고 6,000만 원 ~ 7,500만 원은 비과세 혜택만 제공합니다. 소득 조건은 연말 정산에 나오는 총급여액을 기준으로 확인하시면 되고 연봉에서 식대등 비과세 금액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2.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 펀드

청년 도약 계좌가 저축 상품이라면 장기펀드는 투자 상품입니다. 이 펀드에 가입하면 소득공제 혜택을 제공해서 투자를 통한 자산 형성을 돕는 제도입니다. 연간 600만 원까지 펀드에 납입한 돈의 40%를 소득에서 공제해 줍니다. 3년 동안 한도를 채워 납입한다면 원금과 투자 손익에 매년 240만 원 소득공제 혜택을 챙겨갈 수 있는 상품입니다. 카드를 100만 원 더 썼을 때 소득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15만 원이라는 걸 감안하면 240만 원은 적지 않은 금액이고 올해 1분기 중 은행과 증권사를 통해서 출시될 예정입니다.

 

가입조건은 가입조건은 만 19세 ~ 34세, 소득은 총 급여액 5,0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800만 원 이하입니다. 이 상품도 3년 이내에 중도 해지하면 감면받은 세액을 다시 내야 합니다. 그리고 저축이 아닌 펀드 상품이기 때문에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도 꼭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3. 청년 전세대출 한도 상향

이외에 주거 안정을 위한 제도도 강화돼서 집이 없는 청년을 대상으로 전세자금을 낮은 이자로 빌려주는 무주택 청년 특례 전세자금보증이라는 제도인데 올해부터 한도가 1억 원에서 2억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가입조건은 만 34세, 연소득 7,000만 원 이하일 경우에 받을 수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천년 지원 상품을 잘 활용하면 이제와 세금 혜택까지 알차게 받을 수 있으니 꼭 챙기시기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